분류 전체보기161 UI/UX UI/UX 개념 UI User Interface 사용자가 앱을 사용할 때 마주하는 디자인, 레이아웃, 기술적 부분들 디자인의 구성요소로 폰트, 색, 글 간격 등을 의미 기술적인 부분들은 반응형이나 애니메이션 효과를 의미 사용할 때 UI에 불편함이 없고 만족도가 높은 쪽으로 설계 UX User eXperience 앱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경험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방향으로 프로세스가 진행되도록 하는 것 통계 자료 등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들의 상황과 시점에 맞게 변화 터치 화면이나 사용자 선택 flow 차이점 UI는 UX를 기반으로 시각적인 요소에 집중 UX는 UI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험을 분석하여 보완하는 것이 초점 상관관계 UX를 바탕으로 사용자들의 니즈를 파악 니즈를 바탕으로 UI를 업그레이드 U.. 2023. 5. 5. Design Pattern Design Pattern 개념 Design Pattern 객체 지향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자주 발생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설계 방법 과거에 프로그램 개발 과정의 설계 노하우를 바탕으로 재사용하기 좋은 형태로 묶어 정리한 것 특정한 상황에서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제공 구현이 아니라 설계 방법을 의미 목적 재사용성, 호환성, 유지 보수 분류 생성 패턴 객체의 생성 방식을 결정 싱글톤 패턴, 팩토리 메서드 패턴 구조 패턴 객체 간의 관계를 조직 어댑터 패턴 행위 패턴 객체의 행위를 조직, 관리, 연합 옵저버 패턴, 전략패턴, 템플릿 메서드 패턴 싱글톤 패턴 개념 하나의 인스턴스만 생성하여 사용하는 패턴 인스턴스가 필요할 때 새로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만 생성하여서 기존 인스턴스를 사용 특.. 2023. 5. 4. Paging and Segment Paging and Segment 개념 가상 메모리 프로세스의 물리적인 주소보다 더 큰 가상의 물리적 주소를 활용하여 실제 메모리보다 큰 주소값들을 사용해서 활용성을 높이는 것 물리 주소는 Frame으로 나뉘고, 논리적 주소는 page나 segment로 나뉜다. 단편화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 사이에 존재하는 빈 공간이 발생하는 현상 외부 단편화 메모리 할당, 해제가 반복되면서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 사이에 존재하는 빈 공간 존재 내부 단편화 메모리를 할당할 때 프로세스가 필요한 양보다 더 크게 할당되어 메모리 공간이 남는 현상 Page 고정 분할 기법 논리적으로 같은 크기로 메모리를 분할한다. page mapping을 위해 page table 생성 연속적이지 않은 공간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 단편화.. 2023. 5. 3. CPU Scheduling CPU Scheduling 개념 Scheduling CPU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프로세스를 적절히 할당하는 방식 Batch time 최대한 많은 일을 하는 것이 목표 Interactive system 빠른 시간 안에 응답하고 적은 대기 시간을 가지는 것을 목표 Real time system 기한을 맞추는 것을 목표 선점형 스케줄링 OS가 프로세스 작업을 강제 회수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는 경우 비선점형 스케줄링 프로세스 종료나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보장 프로세스 상태 전이 승인(Admitted) 프로세스 생성이 가능하여 승인 스케줄러 디스패치(Scheduler Dispatch) 준비 상태의 프로세스를 선택하여 실행 인터럽트(Interrupt) 이벤트가 발생하여 프로세스 상태를 실행에서 준비 상태.. 2023. 5. 2. 이전 1 2 3 4 5 6 7 8 ··· 41 다음